자유게시판
안녕하세요. 칸트입니다.
오늘 아침 일어나 보니 델몬트님이 써주신 글이 있었습니다.
이해되는 부분도 있고 당혹스러운 부분도 조금 있었습니다만 어려운 글을
진심으로 써주셨기에 그에 답변을 다는 것이 예의라 생각합니다.
동호회 운영 부분 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첫번째는, 홍보 게시판 관련입니다.
올해들어서 운영이 시작되었는데 제 생각엔 큰 무리 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일반 회원이 참여하는지 혹은 파워 유저(셀러)나 업체가 참여하는지에 따라 말이죠.
홍보 게시판은 이미 IT 관련 메이저 동호회에서도 설치 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 본다면 홍보 게시판의 활동이 동호회 공동 구매가 할 수 있는 역활의 상당 수를 해주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대상 아이템이나 가격 역시도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회원들에게도 나름대로 도움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홍보게시판은 역설적으로 동호회 운영진이 가급적 금전이 개입되는 공동 구매나 공제로 동호회의 성격이 흐려지지 않기 위해서
하는 방안입니다. 회원 분들이 진행하는 공구를 제외하고 동호회 운영진이 참여하는 공동 구매나 공동 제작을 안한지 몇 년이 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해서 동호회 운영과 동호회에 관련된 아이템 판매나 제작 쪽을 분리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며 홍보 게시판 쪽에 문제만 생기지 않는 다면 현 시스템을 유지할 생각입니다.
두번째는, 키보드 공제를 금지했다는 부분인데,
오래된 일이라 자세한 부분은 기억이 잘 안납니다만 주요 사실만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몇년 전에 DK인지 356인지 커스텀 키보드 공구를 끝내고 추가 진행 되는 공구를 막은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Zboard 4 시스템이 불안하여 공구 시작 후 부터 시스템이 거의 다운 정도로 불안했고
동호회 분위기가 마치 공동 구매 동호회 같이 시장화 되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분명히 동호회에서 생각하는 공동 구매와 다른 모습이었고 소규모 동호회에서가 감당하기엔 물량, 공동 구매 금액,
기간 등이 수용 범위 이상 이였습니다.
운영진은 이러한 이유 계속 고민하다가 결국 공동 구매를 몇달간 막았었고 그 후에 다시 열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후 얼마 있다가 첫번째의 이유로 공구 게시판을 완전 폐지했습니다.
다만 이러는 와중에서 정확하게 공동 구매 중지에 대한 안내를 공구 진행 회원들에게 하지 못한 점,
또한 시스템 불안과 운영자 실수가 겹쳐져 게시글이 지워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분명한 운영진의 실수이고
짧게나마 그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때 관련자 분께 전화로 사과 드린 적은 있습니다.
분명히 운영진이 처리에 대한 잘못은 있었겠습니다만 지금 다시 비슷한 상황이 오더라도 분명히 고민을 할 것 입니다.
세번째는, 커스템 키보드의 복간인가 하는 의견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 부분이 문제의 시초가 된 것 같은데.
다른 키보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제 소관 밖이고
이번 키보드 제작 부문만 이야기로 하겠습니다.
뉴스 게시물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메인 기판 제작을 진행하면서 알루미늄 키보드를 생각했습니다. 이미 보강판과 기판이 진행되고 있었고
알루미늄 절곡,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조합 등 여러가지 이를 마운트할 하우징을 찾다고 결국 CNC 처리, 아노 다이징 치리로
갔고 결국 최종 샘플까지 나온 상태가 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제품을 디자인해보거나 만드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CNC 가공 특성상 그 디자인의 차가 무척 적습니다.
멀리갈 것 없이 CNC로 만든 키보드를 사진 게시판에서 검색해보시면 제작자에 상관 없이 키보드 크기에 상관 없이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다른 제품과 세부 부품이나 구성이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구조 역시 상이합니다. 또한 완제품인데다가 심지어는 당분간은 처음 이벤트를 제외하곤 국내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도 않습니다.
아직 진행 중이기도 하죠. 만약 첫 제품이 반응이 괜찮다면 그동안 생각했던 레이아웃을 반영한 키보드 제작을 하려고 계획 중인데
이 제품들도 적어도 외관 모습에서 CNC 처리를 한 다른 키보드와 얼마나 차별화할 수 있을 까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알루미늄과 CNC 처리를 했다고 다 같은 키보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떤쪽에선 여러 분들이 모여서 절대 키보드를 구현할 수도 또 어떤 쪽에선 쓸만한 양산품을 목표로 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네요.
글이 길어졌습니다. 제 글에 동감하시는 분도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다른 생각은 이렇다 하는 것만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재미로 시작한 일인데 어쨌거나 약간의 물의를 일으킨 점 회원 여러분께 사과 말씀 드립니다.
그럼..
오늘 아침 일어나 보니 델몬트님이 써주신 글이 있었습니다.
이해되는 부분도 있고 당혹스러운 부분도 조금 있었습니다만 어려운 글을
진심으로 써주셨기에 그에 답변을 다는 것이 예의라 생각합니다.
동호회 운영 부분 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첫번째는, 홍보 게시판 관련입니다.
올해들어서 운영이 시작되었는데 제 생각엔 큰 무리 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일반 회원이 참여하는지 혹은 파워 유저(셀러)나 업체가 참여하는지에 따라 말이죠.
홍보 게시판은 이미 IT 관련 메이저 동호회에서도 설치 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 본다면 홍보 게시판의 활동이 동호회 공동 구매가 할 수 있는 역활의 상당 수를 해주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대상 아이템이나 가격 역시도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회원들에게도 나름대로 도움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홍보게시판은 역설적으로 동호회 운영진이 가급적 금전이 개입되는 공동 구매나 공제로 동호회의 성격이 흐려지지 않기 위해서
하는 방안입니다. 회원 분들이 진행하는 공구를 제외하고 동호회 운영진이 참여하는 공동 구매나 공동 제작을 안한지 몇 년이 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해서 동호회 운영과 동호회에 관련된 아이템 판매나 제작 쪽을 분리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며 홍보 게시판 쪽에 문제만 생기지 않는 다면 현 시스템을 유지할 생각입니다.
두번째는, 키보드 공제를 금지했다는 부분인데,
오래된 일이라 자세한 부분은 기억이 잘 안납니다만 주요 사실만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몇년 전에 DK인지 356인지 커스텀 키보드 공구를 끝내고 추가 진행 되는 공구를 막은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Zboard 4 시스템이 불안하여 공구 시작 후 부터 시스템이 거의 다운 정도로 불안했고
동호회 분위기가 마치 공동 구매 동호회 같이 시장화 되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분명히 동호회에서 생각하는 공동 구매와 다른 모습이었고 소규모 동호회에서가 감당하기엔 물량, 공동 구매 금액,
기간 등이 수용 범위 이상 이였습니다.
운영진은 이러한 이유 계속 고민하다가 결국 공동 구매를 몇달간 막았었고 그 후에 다시 열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후 얼마 있다가 첫번째의 이유로 공구 게시판을 완전 폐지했습니다.
다만 이러는 와중에서 정확하게 공동 구매 중지에 대한 안내를 공구 진행 회원들에게 하지 못한 점,
또한 시스템 불안과 운영자 실수가 겹쳐져 게시글이 지워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분명한 운영진의 실수이고
짧게나마 그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때 관련자 분께 전화로 사과 드린 적은 있습니다.
분명히 운영진이 처리에 대한 잘못은 있었겠습니다만 지금 다시 비슷한 상황이 오더라도 분명히 고민을 할 것 입니다.
세번째는, 커스템 키보드의 복간인가 하는 의견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 부분이 문제의 시초가 된 것 같은데.
다른 키보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제 소관 밖이고
이번 키보드 제작 부문만 이야기로 하겠습니다.
뉴스 게시물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메인 기판 제작을 진행하면서 알루미늄 키보드를 생각했습니다. 이미 보강판과 기판이 진행되고 있었고
알루미늄 절곡,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조합 등 여러가지 이를 마운트할 하우징을 찾다고 결국 CNC 처리, 아노 다이징 치리로
갔고 결국 최종 샘플까지 나온 상태가 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제품을 디자인해보거나 만드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CNC 가공 특성상 그 디자인의 차가 무척 적습니다.
멀리갈 것 없이 CNC로 만든 키보드를 사진 게시판에서 검색해보시면 제작자에 상관 없이 키보드 크기에 상관 없이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다른 제품과 세부 부품이나 구성이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구조 역시 상이합니다. 또한 완제품인데다가 심지어는 당분간은 처음 이벤트를 제외하곤 국내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도 않습니다.
아직 진행 중이기도 하죠. 만약 첫 제품이 반응이 괜찮다면 그동안 생각했던 레이아웃을 반영한 키보드 제작을 하려고 계획 중인데
이 제품들도 적어도 외관 모습에서 CNC 처리를 한 다른 키보드와 얼마나 차별화할 수 있을 까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알루미늄과 CNC 처리를 했다고 다 같은 키보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떤쪽에선 여러 분들이 모여서 절대 키보드를 구현할 수도 또 어떤 쪽에선 쓸만한 양산품을 목표로 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네요.
글이 길어졌습니다. 제 글에 동감하시는 분도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다른 생각은 이렇다 하는 것만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재미로 시작한 일인데 어쨌거나 약간의 물의를 일으킨 점 회원 여러분께 사과 말씀 드립니다.
그럼..

키보드 매니아가 세계 최고 동호회가 되는 날까지
열심히 뛰겠습니다 !
2010.08.17 12:35:16 (*.247.80.52)
델몬트님은 외관만 비슷하다고 복각이라고 한 것 같지 않습니다. 그렇게 따지만 356시리즈도 다.. 또뀨의 복각이지여!
그렇다고 키캡등이 좀 다르다고 차별화 되었다고 볼 수 없지요!
그런면에서 kant님의 이번 타입나우 솔리드는 356이 그랬던 것처럼 기존 것과 어떻게 차별화를 두었다라는 구체적인 언급이 필요한 부분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2010.08.17 13:05:32 (*.111.26.171)
이렇게 따지면 어차피 모두 FILCO 키보드의 표절작 아닌가요?
TYPENOW SOLID 프로젝트 진행한다고 얘기한 게 어제 오늘 일도 아니고
회원들끼리 Cherry, ALPS 스티커 만들어다 붙이는 것은 '진정한 매니아의 자세'라며 미화하고 356의 아이디어와 비슷한 걸 출시하니까 활동 하기 싫다는 건 좀 아니지 않나요?
2010.08.17 15:58:25 (*.129.90.156)
제가 평소에 커스텀 키보드라는 것을 보면서 느낀 바와 비슷합니다. mini의 경우 손에 넣기 힘든 레이아웃이긴 하지만요.diy에 의미가 있는 정도는 알겠지만 이미 나와있는 레이아웃이 세기도 힘든 키보드 시장에서 말이죠.
키감이라는 것에 대한 지나친 환상만 아니라면 필코 텐키리스 정도에서 스위치 윤활, 스티커 작업 정도만해도 곱절 이상의 커스텀 키보드 가격에 대한 기대는 충분히 체워진다고 봅니다. 기판 보강판 다 같이 공제하고 이미 제한적인 체리스위치로 만드는 작업이 과연 자신만의 키보드라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것인지도요.
공방 고수분들의 작품정도의 변화가 입혀진 완성품이라면 모르겠습니다.
작업 과정의 즐거움은 정말 즐겁고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독창성이라는 부분이 너무 고압적으로 느껴지네요.
더더군다나 해외 사이트에서는 평범한 플라스틱 하우징에 보기좋은 레이아웃만 나와도 해외배송이라도 하고 싶다는 반응이 있는 판에 국내 업체에서 기계식 키보드에 대한 손을 놓지 않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격려해줘야 될 일이라고 느껴집니다.
키감이라는 것에 대한 지나친 환상만 아니라면 필코 텐키리스 정도에서 스위치 윤활, 스티커 작업 정도만해도 곱절 이상의 커스텀 키보드 가격에 대한 기대는 충분히 체워진다고 봅니다. 기판 보강판 다 같이 공제하고 이미 제한적인 체리스위치로 만드는 작업이 과연 자신만의 키보드라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것인지도요.
공방 고수분들의 작품정도의 변화가 입혀진 완성품이라면 모르겠습니다.
작업 과정의 즐거움은 정말 즐겁고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독창성이라는 부분이 너무 고압적으로 느껴지네요.
더더군다나 해외 사이트에서는 평범한 플라스틱 하우징에 보기좋은 레이아웃만 나와도 해외배송이라도 하고 싶다는 반응이 있는 판에 국내 업체에서 기계식 키보드에 대한 손을 놓지 않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격려해줘야 될 일이라고 느껴집니다.
2010.08.17 13:30:46 (*.202.70.51)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와 비슷한 걸 상업적 용도로 양산해서 판다면,
적어도 허락을 구하려는 노력은 해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2010.08.17 14:23:48 (*.216.81.162)
개인적인 생각 몇자 적어봅니다...
키보드 처럼,,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 되어 있고,
표준이 정해져 있는 것을 가지고,,,
모방 운운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봅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선, 양산제품을 만든 사람과 안만든 사람의 분류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제품이 아이디어 상품이고, 신개념 상품이거나, 기존틀에서 벗어난 것을 개인이 개발하고,
그것을 훔쳐서 양산을 했다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됐을테지요..
하지만,, 키보드와 같이 국제적으로 표준이 정해져 있는 것은, 누가 누구를 표절했다고 보기에 힘든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흥분하는 부분은,,
제조품이야, 사용되는 부품은 어차피 표절의 대상도 아니고,,
완제품을 놓고 봤을때 결국 외형(디자인)이 판가름 하게 되어 있지요..
사람들이 비슷하고 느끼고 똑같다 라고 느낀다면, 외형만큼은 표절(이용)했다고 인정하는게 보기 좋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저도 직업이 s/w연구원인지라...
1년에 1~4번의 특허를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입장이지만, 사실.. 정말 힘들고 의미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컨셉이 비슷하다고 해서, 도덕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엔지니어생활 못합니다............
마지막으로,
만약, 아이오매니아가,,, 키보드매니아의 아이디어를 이용해서, 자사의 이익을 추구했다면, (그렇게 느껴진다면,)
키매냐 회원이 먼저 외면할 것입니다.. 델몬트님 처럼....
추가: 하지만, 키보드매니아의 의견을 수렴하여, 아이오매니아가 제품을 양산해 냈다면,,
환영받을 것입니다...
이것은 전적으로 개인이 판단할 문제 겠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후자의 입장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키보드 처럼,,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 되어 있고,
표준이 정해져 있는 것을 가지고,,,
모방 운운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봅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선, 양산제품을 만든 사람과 안만든 사람의 분류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 제품이 아이디어 상품이고, 신개념 상품이거나, 기존틀에서 벗어난 것을 개인이 개발하고,
그것을 훔쳐서 양산을 했다면,,
도덕적으로 문제가 됐을테지요..
하지만,, 키보드와 같이 국제적으로 표준이 정해져 있는 것은, 누가 누구를 표절했다고 보기에 힘든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흥분하는 부분은,,
제조품이야, 사용되는 부품은 어차피 표절의 대상도 아니고,,
완제품을 놓고 봤을때 결국 외형(디자인)이 판가름 하게 되어 있지요..
사람들이 비슷하고 느끼고 똑같다 라고 느낀다면, 외형만큼은 표절(이용)했다고 인정하는게 보기 좋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저도 직업이 s/w연구원인지라...
1년에 1~4번의 특허를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입장이지만, 사실.. 정말 힘들고 의미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컨셉이 비슷하다고 해서, 도덕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엔지니어생활 못합니다............
마지막으로,
만약, 아이오매니아가,,, 키보드매니아의 아이디어를 이용해서, 자사의 이익을 추구했다면, (그렇게 느껴진다면,)
키매냐 회원이 먼저 외면할 것입니다.. 델몬트님 처럼....
추가: 하지만, 키보드매니아의 의견을 수렴하여, 아이오매니아가 제품을 양산해 냈다면,,
환영받을 것입니다...
이것은 전적으로 개인이 판단할 문제 겠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후자의 입장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2010.08.17 15:07:09 (*.146.32.4)
어차피 서로가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고.
가던중에 이런문제가 왜 다시 불거지는지 전 잘 모르겠네여.
어느 한군데 확실히 정착못하는 저이기때문에 그럴수도 있구여
솔리드가 나와서 두께 기판 아 완전 똑같아
이건 완전히 표절이다 이런것도 아니고.
그냥 감으로 저건 아니야 라고 하는건
제생각으로는 잘못된것 같기도 합니다.
가던중에 이런문제가 왜 다시 불거지는지 전 잘 모르겠네여.
어느 한군데 확실히 정착못하는 저이기때문에 그럴수도 있구여
솔리드가 나와서 두께 기판 아 완전 똑같아
이건 완전히 표절이다 이런것도 아니고.
그냥 감으로 저건 아니야 라고 하는건
제생각으로는 잘못된것 같기도 합니다.
2010.08.17 15:53:00 (*.246.149.90)
신입 회원인 저도 멀리서 객관적으로 이번 사태를 바라보아도... 그 무언가 꺼림직한 느낌이 느껴지기는 하네요..
글쎄... 탈퇴까지 하는 사태가 단순한 오해의 소지에서 발생한다고는 생각되지는 않는데..
그냥 그렇습니다..=ㅅ=;
2010.08.17 20:40:53 (*.94.41.89)
한가지만 물어봅니다.
356 공구가 실패로 돌아갔을경우에 회원들이 외면 했었더라면...
과연 이제품이 양산하리라고 생각했었을까요?
356 공구가 실패로 돌아갔을경우에 회원들이 외면 했었더라면...
과연 이제품이 양산하리라고 생각했었을까요?
2010.08.18 00:58:51 (*.234.246.10)
그동안 이 동호회에서 많은 것들을 보고 배우고 키보드 개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멋진 본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상업화에 젖어가는 모습에 안타까움이 밀려옵니다. 과연 알루미늄 CNC 처리를 했다고 해서 비슷한 디자인으로 밖에 나올 수 없을까요? 전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동안 순수 키보드 매니아들에 의해 축적된 노하우가 하나의 공감대로 굳어졌기에 그런 생각을 하시는 것은 아닌지요? 모든 것을 순수하게 아낌없이 공유했던 사람들의 마음을 다치게 하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제가 볼땐 모든 장점들을 여과없이 받아들인 복사품에 지나지 않아 보입니다. 제작에 있어서 아이오매니아만의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네요. 결국. 아이오매니아가 키보드 매니아를 상업적으로 이용한 셈이 되는 것이겠죠. 제 짧은 생각이 틀렸기를 바래봅니다.
동호회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품을 양산하는 것과 커스텀 제품을 모방하여 양산하는 것은 엄격히 구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동호회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품을 양산하는 것과 커스텀 제품을 모방하여 양산하는 것은 엄격히 구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10.08.18 10:00:39 (*.228.111.134)
356 에서 차용 안했다고 볼수는 없는 모델로 보입니다.
http://naga.mireene.com/custom/custom.html
http://naga.mireene.com/custom/custom.html
작성된지 6개월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