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키감까지 가기도 전에 일단.. 비쥬얼에서.. 참.. 레이아웃만 봐도 이쁘기는 하네요. 쩝..
아무튼 일반적으로 해피해킹을 잘 사용하려면 분명히 적응기가 필요한 난해한 조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지금 글을 쓰는 부분은 정전식과 기계식의 키감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라..
키 레이아웃과 대중성 혹은 인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
(미니배열 중 난해함에도 불구하고.. 어마어마한 인기를 누리고 있고, 무선도 있기에 해피해킹 이야기를 잠시 했습니다.)

위 배열이 아직도 제 최애 키보드이자, 제 첫 무선 키보드였던 미닐라 에어(갈축) 배열입니다.
저는 쓰면서 정말 고심하고 고심해서 키 배열을 만들었구나를 많이 느꼈고.. 정말 쓰면 쓸수록 배열이 예술이구나 싶네요.
이건 제가 지금 이글을 쓰고있는 미닐라 에어 실물 사진이고요..
무선 키보드이자, 기계식 키보드라는 엄청난 메리트에도 타 미니배열에 비해 많은 분들의 외면을 받는
필코 미닐라 에어......
- 제가 쓰고 있는 갈축에 한하여 말해보자면 순정에서 미닐라 에어 키감은 필코 마제 풀배열, 텐키리스보다 더 낫더군요..
이게 사이즈가 작을 수록 통울림 혹은, 공명이 적어 더욱 더 정갈한 키감과 소리가 나는건지..
뽑기 혹은 구조상의 문제인지는 모르겠네요.
(필코 갈축에 한하여 컨버터블 풀배열, 컨버터블 텐키리스 1종씩만 써봤는데, 동일모델 타 키보드들,
유선모델들을 비교해서 타건해보진 못했습니다.)
정전식은 아직 제가 써본 적이 없어서;; 배제하고.. 기계식에서야.. 본인의 취향대로 축을 고르면 될 문제이니..
같은 회사 사이즈에 따른 타 모델들과 비교해서 차이나는 키감 이외의 차이점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2. 무선(블루투스)의 자유로움
왜 미닐라 에어는 미니배열에서 유달리 인기가 없을까라는 생각에 글을 써봤는데..
미닐라 에어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간곡히 부탁을 드리면서, 홍보성이 짙은(?)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마지막으로.. 솔직하게......
영업글이다 보니 첫 사진은 신경써서 찍고, 미니배열 예찬론을 펼쳤지만... 실 사용 환경은 페어링 1,2,3은 커녕
미닐라 에어(갈축)는 메인, 마제 컨버터블 텐키리스(갈축)은 랩탑, 덱헤슘라이트(흑축)는 키패드용 혹은 엑셀용..
사실... 뭐.. 손에 익으면 엄청나다 이야기는 했지만........
미니배열만으로는... 숫자를 엄청 적게 쓰는 업종이 아니고서야.. 일이 안됩니다. -_- 이게 팩틉니다ㅋㅋ
그래도 전 오늘도 애정과 사랑으로 미닐라를 씁니다. ㅎㅎ
(부디 무접점의 세계에 눈 뜨지 않기를 바라면서... -_-)
텍스 비틀하고 비슷한 배열이라 예전 방향키 있는 미니 라인 제품을 구매할 때 이것도 정말 고심했는데,
결국 범용성과 키캡 호환, 일체감을 모두 고려해서 tada68이 저에겐 가장 맘에 들었었네요.
쉬프트+문자로 쌍자음을 입력하려다가 쉬프트+방향키 위 누르고 문자를 눌러서 한줄이 싹 날아가는 경험을 몇번 하면 참 아찔합니다 ㅜㅜ
나머지는 참 우수한 키보드 같습니다. 아무래도 키캡놀이는 어렵겠지만, 그건 미니키보드가 포커배열을 제외하면 거기서 거기인지라 큰 문제는 아닌 것 같고요.
저는 660팬인지라 미닐라를 굳이 사게 될 일은 없을 것 같긴 하지만요..
스패이스바도 은근히 키보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군요.
저는 스패이스바보다는 우쉽때문에 아예 손도 안댄 모델이네요.
저 모델은 아니고, 비슷한 ML4100을 써봤었는데, ML스위치의 키감이 매우 마음에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1x1짜리 우쉽에 적응을 도저히 못해서 내보낸적이 있어서 말이죠.
그 이후로는 저런 쉬프트키를 장착한 모델은 아예 보지도 않습니다. ㅎㅎ
어짜피 못쓰는거 괜히 봤다가 빠지면 저만 곤란해지니까요. ㅋㅋ
+해피해킹의 쉬프트키는 별 다른 문제 없이 생각보다 수월하게 적응했습니다만, 그래도 종종 옆에있는 FN키를 누루기도 했었네요. ㅋㅋ 그나저나, 해피해킹도 역시 배열적응을 하지 못한것으로 보아 아무레도 저는 그냥 텐키레스 정도만 사용해야겠네요. ㅋㅋ
위에 댓글 중에도 나오는 이야기지만.. 저도 스페이스가 너무 길지 않나하는 생각을하는데.. 차라리 미닐라처럼 좀 쪼개서 핫키 등록을 한다던지.. 그런 생각을 했었죠.. 그런데 분명히 긴 스페이스바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네요. 스페이스바가 길면.. 편안한 것도 있지만.. 타건음이나, 약간 묵직한 타건감과 함께 장문을 칠 때 마치 타자기처럼 딱딱 구분되어지는 리듬감과 타건감이 좋긴 하더라고요.
그리고 짧 우싑은.. 정말.. 안맞는 분들은.. 군대에서 행정병으로 차출됐는데.. 짧우싑 키보드 밖에 없어 강제적응 아니고서는,
일상생활에서는 정말 적응하기 노력하다보면.. 대체 내가 뭔 부귀영화를 누릴려고 이러고 있나하는 생각이 들 법한거 같아요. ㅎㅎ
해피해킹 구입을 고민하던때에 마닐라로 비용적으로 타협을 할까 했었는데
어차피 돌고 돌아 해피해킹일 것이었기에 결국 사용해보지 못했습니다.ㅋㅋ
기회되면 마닐로도 꼭 들여보고 싶네요
딱 저랑 똑같은 설정이네요
미닐라 갈축과 마제컨버 흑축 쓰고있습니다^^
전 키캡구할때가 힘들더군요
3스페이스바를 구하기가 힘들어서ㅠㅠ
제가 나오자마자 샀는데... 저는 결국 우측 쉬프트 도저히 적응 못하고 싼값이 내보냈었네요.
생각보다 우측 쉬프트를 굉장히 많이 쓴다는 사실을 그때 알았어요.
저 배열을 미닐라가 아니고 다른 키보드로 사용했었는데 역시 우슆이 문제더군요.
처음에는 괜찮은데 타건시간이 길어지고 피곤해 지면...문제가 생기더랴고요...ㅠ
지금은 해피 일문배열을 사용중인데
이것도 우슆이 1x1이기는 하지만 방향키 우측에 있어서
새끼손가락을 최대한 밖으로 내밀면 되기 때문에 오히려 오타가 줄더라고요.
좌우간 일문해피던 미닐라던 미니사이즈도 독립된 방향키가 있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이 작은 키보드에 모든 키가 다 있으니...^^;;
마닐라.. 저도 중고구매해서 한달 버텨봤지만 우쉽때문에 방출하고 말았었습니다.
뭐 그것뿐만 아니라 미니배열에서 오는 잦은 Fn키 사용도 쉽지는 않더라구요.
키감이나 재미(휴대폰 연결등)는 꽤 있었던것으로 기억됩니다.
키 반복현상은 제어판 키보드에서 repeat delay를 좀 낮추시면 해결됩니다. 저도 같은 문제 겪었는데 저렇게 하니까 안나오더군요.
전 미니배열이 적응이 잘 안되더군요.. 키캡놀이의 불편함도 있긴하지만 f1~f12를 펑션 키를 누르고 사용해야 되다 보니 꽤 자주쓰는저로서는 도저히 익숙해지지가 않드라고요..
분명 미니배열은 적응만 되면 정말 좋은 키보드인데, 적응 과정이 조금 힘든것 같네요ㅎㅎ
정말 호불호도 명확하고 장단점도 너무나 명확한게 미니배열인거 같습니다ㅎㅎ
F1~F12 이 키들도 일상적인 환경에서도 은근히 많이 쓰더라고요.
사실 저도 미니배열을 주력으로 쓰긴 하지만, 풀배열로 돌아왔을 때 정말 편하다고 느끼죠;;
적응은 초기에 강제적으로 하지 않고는(업무하는 곳에 미니배열밖에 없다던지)
천천히 쓰면서 적응하지 하면 절대 적응 안되는거 같아요;;
저는 미닐라 쓸 때 랩탑으로만 업무를 해야하는 환경이었는데 가져온 키보드가 캐리어 부피 무게 고려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가장 작은 미닐라밖에 없어서 펑션키 활용들을 그 때 적응했었죠..
랩탑 키패드로는 도저히 짜증나서 못하겠고, 그렇다고 미닐라를 쓰니 단축키, 숫자 등이 너무 짜증나고 ㅋㅋ
하물며 엑셀도 많이 쓸 때였는데 강제적으로 보름을 고생하고 나니 어느순간 '어라.. 이게 더 편하잖아..' 싶더라고요..
저도 키감만 즐기고 썼으면 펑션키 활용은 끝까지 적응 안됐을꺼 같긴 하더라고요.. ㅎ
기존 키보드들은 쓸데없이 스페이스바가 길다고 생각했습니다.
해피해킹이 그나마 제가 생각하던 미니배열에 가까운데.. 마닐라에어 배열을 보니 좀 더 가려운곳을 긁어주는 느낌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꼭 한번 써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