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이번에 크라이톡스 구입책을 맡게된 Limmy 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사용해본 크라이톡스 오일은 GPL100과 GPL105인데요,
두 오일 모두 붓으로 펴 발랐을 때는 윤활의 성능의 차이는 느끼기 힘들었는데
윤활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테스트중에 있습니다.
일주일 정도 지났는데 아직까지는 차이를 느끼기 어렵네요.
여기 여러 종류의 크라이톡스 오일을 비교해놓은 표가 있는데요,
http://www2.dupont.com/Krytox/zh_CN/assets/downloads/H58510_1.pdf
윤활 성능은 어떤 오일이던지 매우 훌륭합니다.
Oil 4-ball wear test, ASTM D4172 항목을 보면 어떤 오일이든 마찰계수와 볼베어링 마모도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네요.
윤활 성능이 동일하다면 아무래도 윤활제의 점성과 내구성이 중요할 것 같은데요.
1. 점성.
섭씨 20도에서 GPL105는 점성이(ASTM D445) 550, GPL100은 점성이 7입니다.
제가 사용을 해보니 GPL105는 점성이 높아서 과하게 윤활을 하는 경우 눅눅해질 위험이 있고
GPL100은 점성이 낮아서 과하게 윤활을 해도 느낌의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살짝 과하게 해서 질퍽인다는 느낌을 받더라도 그 다음날에는 질퍽이는 느낌이 많이 없어지더군요.
2. 내구성 (내 증발성)
실온에서 얼마나 증발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공식 데이터는 없습니다만 섭씨 66도씨에서 22시간 방치해뒀을 때
GPL100은 11%의 증발이 일어나고 GPL105는 1%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실온에서 GPL100과 GPL105를 발라놓고 약 일주일간 방치해놓아봤는데 GPL100의 경우 살짝 증발이
일어난 것을 보아 실온에서도 미약하지만 어느정도 증발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키보드가 빨리 움직이면 아무래도 마찰이 일어나고 마찰열이 미약하나마 생기게 될테니 GPL100은
조금 빨리 증발하는 편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름에는 키보드 온도가 30도가 된다고 하면 마찰이 일어나는 순간에는
표면의 온도가 10도정도는 순간 올라가지 않을까요? 어디까지나 추측입니다만 "마찰=열"이라서요. ^^;;
정리하자면,
GPL100은 점성이 낮아서 키감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지만 빨리 말라서 없어지는 것 같고
GPL105은 점성이 높아서 키감에 영향을 주지 않게 윤활을 하려면 붓으로 정교하게 펴발라야하지만
거의 말라 없어지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대안으로,
GPL100과 GPL105의 장점을 절충한 성질을 가지는 너무 점성이 높지 않으면서 쉽게 증발하지 않는
GPL102가 개인적으로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만,
(위와 같은 환경에서 GPL102의 점성은 36, 증발율은 2% 입니다. 그리고 오일 점성인덱스는 29 입니다.)
저보다 윤활 경험이 많은 분들 그리고 기존 윤활액을 사용해보신 분들의 의견을 수렴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양을 구입하는 만큼 큰 실수가 없는 구입이 됐으면 합니다.

윤활액은 아무래도 표면에 붙는 힘, 흡착력이라고 해야하나요?
아무튼 이 부분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크라이톡스 100 부터 107 중에서 윤활시간이 빠르면서 성능의
지속시간이 긴 것이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긴 하네요.
106을 사용해보니 점도가 높은 편이라 작업에 시간이 좀 걸리더군요.
종류별로 2가지 구매하는 방법은 어떨까요?
만약 그렇게 된다면 102와 105 두 가지가 관심이 갑니다만...
한 가지만 된다면 103 이나 104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종류별로 두개를 구입하는 것이 안전하기도하고 서로 다른 취향을 맞추는데는 좋기는 하겠습니다만,
구입 단가가 약 10% 정도 높아지고 소분하는 일이 두배로 늘어납니다.
이번 공구는 한사람 앞에 50g씩 구입하게 되는데 50g이면
헤프게 써도 키보드를 50대는 너끈히 윤활할 수 있는 양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25g씩 두 종류의 윤활액도 개인이 쓰기에는 충분한 양일 것 같네요.
하지만 25g은 넉넉하다는 느낌이 들기에는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GPL100과 GPL105를 14g씩 구입해서 야금야금쓰고 있는데 줄어든 양을 보면 아.. 아껴써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GPL102보다 GPL103이나 GPL104가 도 좋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와코즈 105가 GPL105를 기반으로 했다는 말을 들었는데 와코즈는 윤활할 때 조심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와코즈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한다고 이해했는데 GPL105의 점도와 가까운 오일을 선호하시는 이유가 있을까 궁금합니다. 점도가 높은 편이 흡착력에 있어서 유리하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이전에 옆동 공구에서는 106으로 진행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106을 선택하게된 이유가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만약 이유가 있었다면 원래 생각했던 것 보다 점성이 있는 쪽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한가지 제가 실험으로 알게된 사실은 점성이 가장 낮은 GPL100이나 어느정도 점도가 있는 GPL105나 얇게 붓으로 발랐을 때는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 다만 아직 일주일 밖에 사용해보지 않아서 장기적인 효과는 잘 모르지만, 증발의 문제를 해결한다면 점성이 낮으면 낮을 수록 좋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며칠전에 GPL100을 소량으로 보내드렸으니 공구 주문이 결정되기 전에 사용해보실 기회가 되신다면 추가 의견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마찰이 일어나는 두 물질이 긁히지 않을만큼만 최소한의 얇은 필름을 형성하는 윤활제가 가장 좋은 윤활제라고 알고 있습니다.
중요한 윤활제 중에 하나인 엔진오일의 경우는 상온에서 상당히 점도가 높은데요, 이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엔진이 과열됐을 때도 일정 점도를 유지해서 윤활 필름이 너무 얇게 형성되지 않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키보드는 마찰이 많이 일어나는 곳도 아니고 열도 많이 나지 않으니 점도는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하는데 증발에 대한 걱정 때문에 두단계 점도가 높은 오일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GPL100과 GPL105를 써본 입장에서는 둘 다 괜찮은 윤활 효과를 내던데 아직 사용기간이 짧아서 장기적으로 어떤 윤활액이 더 좋은 선택일지는 잘 모르겠네요.
위 링크를 참고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OTD 의 응삼님의 블로그인듯~~~~~ 응삼님의 썬그라스 모습도 보이는 듯~~~~ 하고요...ㅎㅎㅎ
물어본 것은 아니니 확실하지는 않아요.
와코즈 후쏘오일 105가 GPL 105와 기본 베이스가 동일하다고 본다면 104를 선택하는게 어떨까 싶네요.
와코즈 105를 사용하면서 점도가 좀 더 낮으면 작업시간이 단축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도 104 정도가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라파엘님 추천이라면 믿음이 갑니다 .^^
머..써보고아니면..한번더 달려 버리죠머..ㅡㅡ
오늘 miller-stephenson에 전화를 해봤습니다. 1kg 컨테이너 하나에 407불 한다는군요. 같은 종류를 두개 주문하면 개당 400불이랍니다. 만약 다른 종류 두개를 주문한다면 miller-stephenson 이 netmercury 보다 저렴할 것 같습니다. miller-stephenson은 제가 한번 주문해봤는데 일처리는 정말 깔끔해요. Dupont 홈페이지에서도 크라이톡스 공식 딜러로 되어있고요.
102를 문의했을 때 M-S에서도 해당 브랜치에 재고가 없다고 했고 주문을 하면 2-3주 정도 걸린다고 했습니다. 어떤 오일으로 할지 결정을 하면 한번 더 문의해보겠습니다. 이때 다른 브랜치에 재고가 있는지 알아보면 되겠지요. 참 그리고 2kg 컨테이너는 단종이 되었다는군요. 아마도 1kg짜리 두개로 주문들어갈 것 같습니다. 나눠서 배송하기 편하게됐습니다.
공구에 참여하실 다른 분들도 의견이 있으시면 내주시는 것이 어떨까요? 의견을 내주실 때는 왜 어떤 제품이 좋을지 의견을 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구입하는 분들이 이해를 하고 수긍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안정적인 내휘발성(내구성)을 가진 제품중에 가장 점도가 낮은 제품인 GPL102가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점도가 낮은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점도가 높으면 과하게 윤활을 했을 때, 혹은 균등하게 윤활을 하지 못했을 때, 높은 점도의 윤활제는 키감의 불균형을 가지고오는 반면, 낮은 점도의 윤활제는 균등하게 윤활하지 못했더라도 키감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는 판단하에서 그리 결정했습니다. 윤활제는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에 마모가 일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코팅이 얇게 먹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는데 점도가 높은 경우 코팅이 두꺼워질 가능성이 높고, 게다가 높은 점도 때문에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키감의 변화 및 키감이 불규칙하게 되는 위험이 커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라파엘님께서는 GPL105보다 한단계 낮은 제품으로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GPL105보다 한단계만 낮은 점도를 가진 윤활액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내주셨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주시지 않았습니다.
제가 근거로 제시한 부분이 키보드의 윤활에서는 별 상관이 없고, 다른 부분이 중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으니 지식을 나눠주시고 활발한 토론을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점도가 낮은 윤활액을 써봤는데 점도가 낮아서 혹은 점도가 높아서 이러이러한 부작용이 있었다던지 하는 경험이 있으면 공유를 부탁드립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체리 스위치 윤활의 경험이 거의 없습니다. 제가 GPL100과 GPL105을 가지고 일주일간 실험한 부분과 얄팍한 이론으로 책상머리에 앉아서 생각한 것은 헛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많은 윤활 경험이 있으신 분의 경험담이나 슬라이더 윤활에는 이런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이 있으면 의견수렴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메룩스짱님, 라파엘님, 그리고 쪽지를 주신 몇분은 104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의견을 내주신 분들중에 [楓]kaede님과 저는 102을, 그리고 라파엘님, 메룩스짱님, 그리고 쪽지를 주신분은 104가 가장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의견을 표하신 분들의 과반수가 104을 원하시니 월요일까지 또다른 반론이나 반대의견이 없으시면 104으로 결정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메룩스짱님과 의논해본 결과 두가지 종류를 추진하는 것은 힘들어 보입니다. 따라서 한가지로 주문할 예정입니다.
104을 선택하신 분들은 특별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으셨는데 점도가 있는 윤활액이 전통적으로 쓰이는 지 혹은 제가 모르는 이유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102를 끝까지 밀고 나갈 생각은 없지만 104을 선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설명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102를 선택했다고해서 104이 안좋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단지 제 기준에서는 102가 더 좋아보인다는 것이겠지요. 저는 실제로 100과 105을 사용하고 있고 그 성능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GPL100이나 GPL105이나 일주일간 적축에 사용해본 경험으로는 100과 105의 차이를 느끼기가 힘들어요.
아. 그리고 윤활은 아이오에이드를 발라서 건조한 후에 그 위에 GPL100이든 GPL105든 얇게 바르는 것이 가장 얇고 균일하게 윤활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스위치를 해당 방법으로 윤활한 것은 아니고요, 맨 플라스틱 판에 100, 105, 그리고 아이오에이드를 바른 면에 100, 105를 붓으로 칠해본 결과 도달한 결론입니다.
1. 몇몇 스위치는 분해해서 꼼꼼히 발라줬고 (2번과 마찬가지로 스프링과 슬라이더가 닿는 부분에 실리콘 오일 사용했습니다.),
2. 몇몇 스위치는 분해해서 스프링있는 곳에 실리콘 오일 한방울 떨어뜨리고 다시 조립 그 후에 스위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누르고 붓으로 틈새로 슬라이더가 움직이는 홈을 붓으로 윤활을 해줬습니다.
2번이 훨씬 편리한 방법인데요, 1번과 2번의 차이를 느끼기 힘드네요. 물론 아예 분해를 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윤활을 해도 되지만 스프링 윤활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 긁히는 소리가 신경쓰이실 거에요.
참 그리고 마지막으로 2번의 방법으로 청축을 윤활하는 경우 105를 사용하면 클릭음이 죽어버리지만, 100을 사용하면 클릭음이 살아있습니다. 청축을 윤활해볼 생각이 있으신 분은 GPL100을 구해서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105로 윤활한 청축 스위치는 분해해서 윤활액을 면봉으로 닦아내더라도 100으로 윤활한 청축의 청량한 소리는 나지 않네요. 닦아내더라도 약간 눅눅한 소리가 납니다. 105으로 윤활한 청축은 알콜을 묻혀서 닦아내야 비로소 이전의 청축의 소리 비슷하게 돌아왔습니다. 반면 100으로 윤활한 청축은 잡소리가 살짝 줄어든 청량한 청축의 소리가 나네요. 분해해서 보면 슬라이더에 윤활액이 눈에 보일정도였으니 점도가 낮은 윤활액이 얼마나 관대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크라이톡스 GPL 104로 구글 검색을 해보다가 재미있는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출처: http://www2.dupont.com/Lubricants/en_US/assets/downloads/Squeaks_and_Rattles_Newsletter_2.pdf
내용인 즉슨 105대신에 104나 103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는 내용입니다. 105가 높은 점성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윤활 효과가 떨어진다고 하네요. 이 자료가 나오는 논문을 열람하고 싶었지만, 유료라서 열람하지 못했네요. 논문의 출처는
http://papers.sae.org/1999-01-1803/ 여기 입니다. 혹시 여기 자료에 서브스크립션을 가지고 계신 엔지니어분이 계시면 자료 공유 살짝 부탁드려요. ^^
104는 그래프에 나오지 않았지만 103의 결과를 보면 매우 인상적입니다. PVC를 페인트 칠해진 철에 100만번 문댔는데 마찰계수가 거의 일정하다는 것은 놀라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점도가 높은 105나 107은 시간이 갈수록 그 효과가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테스트 결과를 보니 104보다는 103이 괜찮아 보입니다.
그리고 역시나 증발의 문제는 내구성과 연관이 있네요. 하지만 위 링크의 글에서는 103이나 104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내구성의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일축하네요. 102까지는 어느정도 내구성이 의심스러운가봅니다.
참 그리고 자연 윤활이라는 것을 그래프로 볼 수 있습니다. PVC가 마모가 되면서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점차 마찰계수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결과는 서로 마찰이 일어나는 물체가 무엇인가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고 하는데 마찰이 일어나는 두가지 물체중 하나가 플라스틱이므로 키보드에도 어느정도 적용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가 위에 말씀드렸던 "가능하면 가장 점도가 낮은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이론에 근거가 되는 자료라고 생각되네요. 107,105,103으로 내려오면서 윤활성능이 나아지는 것을 봐서 104보다는 103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자료를 보니 104보다는 103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라파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점도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의 환경이나 마찰이 심하게 발생해서 마찰면이 뜨거워지는 경우 점도가 높은 윤활액을 써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윤활액도 필요하겠지요.
그리고 점도가 너무 낮아버리면 마찰을 줄여주기위한 코팅이 너무 얇게되는 문제가 있고, 점도가 너무 높으면 움직임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적당한 점도 유지가 필요하고요. (자동차 오일에 관련된 웹페이지에서 본 내용입니다.)
점도가 높은 윤활제를 붓등으로 펴 바르는 경우 코팅의 두께를 인위적으로 얇게 만들 수 있지만 높은 점도의 액체는 표면에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축의 윤활의 경우 아무리 얇게 바른다고해도 점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GPL100은 청축에 윤활을 해도 클릭음이 살아있는 반면 GPL105는 얇게 발라도 클릭음이 죽더군요) 하지만 이 표면에 잘 붙어있는 성질 때문에 다른 축에서 윤활의 전후 느낌의 차이를 많이 느낄 수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일단 마찰을 줄이는 효과 + 달라붙는 효과(마찰을 조금 발생시키겠지요) + 덜그럭거리는 소리를 잡아주는 효과가 있을테니까요.
크라이톡스는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 이외에 자동차의 고무씰을 개선하기 위해서 쓰이기도합니다. 아우디나 벤즈의 오픈카의 덮개 부분에 물이나 바람이 새지 않도록 발라주는 용도로 쓰인다고 하네요. 이 용도로 GPL105가 쓰인다고 Krytox 공식딜러인 miller-stephenson 홈페이지에 나와있기도하고 아우디나 벤즈는 크라이톡스의 서비스 파트 번호가 있기도하다고하네요.
위 링크에서 참고한 링크
http://forums.audiworld.com/showthread.php?t=1622459
http://www.slkworld.com/230673-post18.html
몇몇 분이 라파엘님의 의견을 따라 104로 하는 것이 좋다고하셨는데 라파엘님께서 103으로 결정하는데 동의를 하시니 103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와코스가 105 니까, 102가 좋을거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