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시판
10여년간 잘 써오던 G80-8200 포스키보드가 정전기로 허망하게 떠나간 것을 계기로 입력기기의 전면적인 세대교체를 단행했습니다.
키보드는 Archon K77 체리 갈축이고 넘패드는 MagicForce Smart 21 이름모를 청축(제일 싼 모델) 입니다.
블루투스보다는 RF 2.4GHz 방식이 절전모드에서 깨어나는 것도 빠르고 오작동도 없습니다. 이 점이 이 키보드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점입니다. 다만 배터리가 오래가지 않는다는 평이 있던데 수령한지 약 12일이 지났는데 아직까지는 쓸만합니다. 동봉된 배터리는 쓰지 않고 에네루프 AAA를 꼽아줬습니다. 오늘 측정해보니 배터리 전압이 1.22V까지 내려갔던데 배터리가 부족하다고 표시되거나 하지 않는 것을 보면 NiMH 충전지와 호환성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알카라인 건전지 전압 기준으로 배터리 부족하다고 표시되는 기기는 아닙니다. 그런 기기에서는 NiMH 전지를 충분히 다 사용하지 못하는데 이 키보드는 NiMH 충전지를 잘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분리형이라 따로 USB케이블을 꼽아서 충전하지 않고 바로 교체할 수 있는 점도 장점입니다.
[4/25 추가]
오늘 Capslock LED가 깜빡거리며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렸습니다. 에네루프AAA의 전압을 측정해보니 0.97V이었습니다. 전압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교체전까지 오작동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전압이 1V 밑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NiMH 배터리의 용량을 충분히 사용한 것이라서 마음에 들고, 그리고 갑자기 먹통이 된다거나 오작동이 일어나기 전에 배터리 교체시기를 제때 알려준 점도 마음에 듭니다. AA를 사용했던 무선기기들 중에 로지텍 마우스를 제외하고는 배터리 부족표시등이 제대로 표시된 것이 별로 없었다는 점에서 저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4월10일에 키보드를 받았으니 약 2주간 사용했습니다. 기존 무선 키보드보다는 확실히 배터리 교체 시기가 빠르기는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기존 무선 키보드는 용량이 훨씬 큰 AA충전지를 사용합니다. 일반 에네루프 기준으로 AAA 충전지 용량은 750mAh이고 AA충전지의 용량은 2000mAh이니 사용 가능한 배터리 용량만 봐도 두배반정도 차이가 납니다. 게다가 한참 타이핑 할 때소모 전류도 K77이 필코 컨버터블에 비해 많이 높았습니다. (K77은 사용시 8mA, idle시 0.08mA 소모. 필코 컨버터블2는 사용시 0.3~0.8mA, idle시 0.05mA) 처음 받아보고 사용전류를 측정해봤을 때 예상 사용일수를 계산해봤는데 예상했던 것과 얼추 비슷해서 놀랐습니다. 제가 해봤던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시간동안 계속 사용하면 8mAh. 하루에 12시간 사용한다고 하면 하루 소모 전류는 12*8=96mAh. 에네루프 AAA*2 용량은 1500mAh인데 80%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가용용량은 1200mAh정도고 하루에 96mAh를 소모한다면 사용가능한 일수는 12.5일(=1200/96)
2주의 충전주기는 제가 가지고 있는 다른 무선 마우스와 비슷하기 때문에 큰 불만은 없지만 용량이 큰 전지를 사용하면 사용기간이 훨씬 늘어나는데 용량이 작은 AAA전지를 사용했다는 점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4/25 추가 끝]
스위치 방향이 정방향이라서 체리 순정이나 GMK 키캡을 꼽을 수 있고 원래 달려있는 키캡 촉감도 만족스러운 편입니다. (구입하게된 이유 중 하나가 정방향 스위치인데 정작 귀찮이즘으로 키캡을 교체할지는 모르겠네요. ㅋㅋ) 쿨앤조이나 디시인사이드에서 보면 각인이 균일하지 못하다 품질이 별로다라는 평이 대부분이던데, 저는 쓸만하다고 생각합니다. PBT라서 오돌토돌한 표면이 오래가고 이중사출이라 검정색바탕에 흰색각인이면서 또 각인도 반영구적인 부분이 장점입니다. 그리고 PBT 키캡도 표면이 미끌거려서 마음에 들지 않는 키캡을 겪어봤는데 K77에 달린 키캡표면은 보송보송하니 괜찮습니다.
여기 박혀있는 스위치는 이전 필코 컨버터블2에 달려있던 스위치보다는 조금 더 서걱거립니다. 가지고 있는 갈축 중에는 부드러운 축에 속합니다. 같은 체리 갈축이더라도 부드러운 정도는 편차가 있는 것 같고 최신 것이 꼭 안좋다고 보기도 어렵고 복불복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옛날 같았으면 분해해서 USB 현미경으로 스위치도 찍어보고 했을텐데 (갈축 슬라이더 현미경 비교 http://www.kbdmania.net/xe/9207562 ) 요즘에는 크게 지장이 없으면 그냥 쓰게되네요. 자주사용하는 컨트롤 키나 모디열 키는 모서리로 누르는 일이 많아서 마찰이 조금 더 잘 느껴지는데 간이 윤활로 손을 좀 봐줬더니 훨씬 부드러줘졌습니다.
세게 치면 스프링 울리는 소리도 좀 들립니다. 뭐 이정도는 사용에는 지장이 없으니 그냥 씁니다. 살살치면 스프링 소리는 잘 들리지 않습니다. 가끔씩 스프링 윤활을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대공사를 할만큼의 비용을 치르며 스프링 윤활을 할 정도로 거슬리지는 않네요.
그리고 이전 블루투스 키보드에서는 무선으로 연결시 LED 상태표시가 되지 않았는데 이번 키보드는 CapsLock이 키보드가 활성화된 이후 10초간이지만 표시가 되어서 좋습니다. 다만 LED위치가 썩 잘 보이는 위치가 아니라서 이 부분은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슬쩍 키보드를 보면 Insert, Home, PgUp키에 살짝 가리는 위치에 LED가 위치해서 CapsLock상태를 한눈에 눈에 띄지는 않습니다. Esc와 F1사이에 놓거나 방향키 위에 LED를 위치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무선 넘패드도 NumLock LED가 켜져있네요. 이건 조금 더 오래켜져있는 것 같습니다. 넘패드는 안정성을 일정부분 포기하고 범용성을 추구하고자 블루투스로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넘패드를 RF버전을 샀다면 동글을 꼽을 자리도 부족하네요. USB허브에 10개의 슬롯이 있는데 마우스 동글만 4개, 키보드 동글 1개, 블루투스 1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무선 신호의 홍수속에 파묻혀있겠죠. 그래서 짧은 연장선으로 서로 조금씩 간격을 뒀습니다.
넘패드는 배송비까지해서 3만원 정도 들었는데 100달러 정도면 GK21S라는 알루미늄 커스텀 넘패드를 구입할 수 있더군요. 이건 지금 넘패드 쓰다가 부족하면 나중에 한번 도전해볼 생각입니다.
여기 책상위에 올려놓은 무선 기기 중 저 트랙패드만 구할 수 없네요. 모델명은 로지텍에서 나온 T650 트랙패드입니다. 이건 상당히 마음에 드는데 어떤 이유로 단종되었는지 참으로 아쉽습니다. 시판되는 트랙패드는 애플 매직트랙패드2가 있는데 지금처럼 쓰기에는 크기가 커서 지금 이게 딱 좋은데 고장나면 더 이상 구할 수 없으니 안타깝네요. 아.. 그리고 윈도10을 정식지원하지 않으니 이 트랙패드도 조만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 같습니다.

네~ 저는 대세는 무선이라고 생각합니다. ㅋㅋ 바꿔쓰고 돌려쓰기도 편하고 깔끔하기도하죠. 요즘 무선기기들은 배터리 성능도 괜찮아서 충전도 2주정도에 한번씩 해주면 되고요. 무선 마우스가 하나만 있으면 충전할 동안 무선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도 있는데요. 무선 마우스를 저 처럼 여러개를 쓰면.. ㅋㅋ 괜찮습니다. 그래서 제 책상위에는 무선마우스가 3대가 있네요. 왼손용, 오른손용, 백업용.
무선 기계식 키보드는 시중에 많이 나오지 않은 것 처럼 보이는데요. 앞으로는 RF 2.4GHz USB 동글 방식 키보드가 많이 나올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블루투스는 느리고 안정성 측면에서도 별로인 것 같아요. 요즘 대기업에서 파는 블루투스 키보드는 사용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는데 기계식 키보드 만드는 회사들의 블루투스를 경험해 본 결과 저는 단점이 아직도 많다고 생각해요. 절전모드에서 깨어날 때도 오래걸리고 키보드로서는 치명적인 오작동도 가끔나오고요.
넘패드는 블루투스인데요. 이것도 절전모드에 들어가고 난 이후에는 깨어나는데 빠릿빠릿하지 않네요. 그래서 자지말라고 심심하면 넘락을 한번씩 켜주고 있습니다. 청축이라 짤깍짤깍 소리도 나고 재미있네요.
블루투스는 입력에도 딜레이가 좀 느껴지고 가끔씩 오작동할 때도 있고 입력기기로 쓰기에는 좀 그래요. 아무래도 블루투스는 연결단계가 많고 (키보드/마우스 -- 블루투스 아답터 -- 블루투스 드라이버 -- 운영체제) 또 블루투스 아답터와 드라이버 종류도 다양해서 그런지 완성도도 떨어지고 영 만족도가 높지 않네요. 아답터나 동글은 절전옵션을 껐는데도 불구하고 절전모드로 들어가고, 절전모드에서 깨는 시간도 2~3초 정도로 상당히 길다는 점이 아쉽고, 연결이 끊기거나 오동작 처리가 깔끔하지 않다는 점도 아쉽네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용으로 쓸 수 있다는 점, 여러대 컴퓨터로 쉽게 연결할 수 있다는 점 정도가 블루투스의 장점으로 보입니다. 한 컴퓨터에서 주력으로 쓴다면 RF방식에 비해서 블루투스의 장점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블루투스 키보드는 일정시간 이상 키입력이 없으면 보통 절전모드에 들어가고, 그 상태에서 키입력을 받으면 절전모드에서 깨어나며 동작하는데, 그 때의 처리가 키보드마다 조금씩 다른 것 같기는 합니다.
저는 블루투스 키보드는 기계식은 사용해본 적이 없고, 펜터그래프 타입만 사용해 봤어요.
로지텍 K780, MX KEYS 와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키보드를 사용해 봤습니다.
K780과 MX KEYS는 전용 동글과 블루투스 모두 지원하고, 서피스 키보드는 블루투스 전용입니다.
K780과 서피스 키보드는 일반 배터리, MX KEYS 는 충전식이죠.
참고로, 제가 느끼기에 키감은 MX KEYS > 서피스 키보드 > K780 입니다...
서피스 키보드는 절전상태에서 키를 누르면, 약간의 지연이 생긴 후 그 키가 입력되는데, 간혹 절전상태에서 입력된 키 입력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MX KEYS 는 지연이 없습니다.
MX KEYS 에는 키보드 백라이트 기능이 있는데 - 저는 배터리 아끼려고 OFF 상태로 사용합니다만 - 사용하지 않으면 백라이트가 꺼지고, 그 상태에서 키보드를 사용하려고 손을 키보드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센서가 손을 감지해서 백라이트를 자동으로 켜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백라이트 기능 OFF 상태에서도 이 센서는 동작하는 것 같고, 센서가 손을 감지하면 절전모드도 해제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절전 모드 때문에 키입력이 지연된다거나 하는 것을 느낄 수 없는듯 합니다.
제가 신기하게 생각하는 것은 K780 인데, 블루투스 연결시 절전모드로 인한 지연을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지연이 느껴지지 않거나, 아주 약간 느껴지더라도 지연이 짧고 키 입력을 놓치는 경우는 없습니다.
센서도 없는 제품으로 알고 있는데, 절전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굉장히 빠른 것인지, 절전모드로 들어가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어요.
음... 사실 블루투스 키보드 절전모드로 인한 입력 지연을 말씀하셨길래 K780 얘기를 써보려고 댓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쓸데없이 길어졌네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기계식 블루투스 키보드도 사용해보고 싶어요.
최근 로지텍, 마이크로소프트 블루투스 키보드의 경험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무선은 대기업 제품이 확실히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제가 마이크로소프트 블루투스 키보드의 초기 버전을 사용했을 때는 윈도우 부팅이 될 때 인식이 늦게된다는 점 (로그인 암호를 치려면 좀 많이 기다려야했죠) 빼고는 큰 불만이 없었습니다. 로지텍 블루투스 키보드는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블루투스 마우스도 절전모드에서 깨어나는 것이 느려서 불편했던 적은 없었습니다.
다만 블루투스라는 것이 컴퓨터 - 블루투스 아답터 (혹은 동글) - 블루투스 기기 이렇게 연결이되어있다보니 아답터가 시원치 않은 경우 블루투스 사용경험이 안좋아지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답터 자체가 절전모드로 들어가버리는 경우, 블루투스 기기가 빨리 깨어나도 중간단계가 덜 깨어나니 유독 대기시간이 길었던 적이 있습니다. 분명히 윈도우 장치관리자에서 블루투스 아답터는 절전모드로 들어가지 않도록 설정했지만 이게 설정이 잘 적용되지 않았던 것이죠.
그리고 중소기업의 기계식 키보드의 블루투스는 대부분 이미 만들어진 모듈을 가져다가 씁니다. 그런데 이 모듈이 대기업에서 신경써서 만든 것에 비하면 수준차이가 많이 나더라구요. 말씀하신대로 절전모드에서 깨어나는 도중에 입력한 값들이 씹힌다던지, 도중에 무선통신오류를 잘 처리하지 못해서 다중입력이 발생하는 등 믿음직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실망했던 경험을 겪은지 이제 몇년이 지났으니 아마도 요즘에는 블루투스 모듈이 좀 개선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는 한데 한번 데었기 때문에 확실히 개선이 되었다는 확신이 없이는 다시 시도하기가 꺼려지는 것 같습니다. 기계식 키보드를 만드는 회사들이 무선모듈을 개발을 하거나 최적화 할 역량이 안된다고 보기 때문에 기계식 키보드의 무선기능을 신뢰하기가 어렵거든요.
그나마 RF는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블루투스보다 간단하고 오랜기간동안 사용되던 방식이라 블루투스보다는 신뢰가 가는 것 같습니다. 또한 RF동글을 그냥 USB에 꼽기만 하면 사용이 가능한 것과 대비해서 블루투스는 페어링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는 점도 제가 블루투스보다는 저는 RF 방식을 더 선호하는 이유입니다.
주절이 주절이 말이 많았네요. RF방식이 블루투스에 비해서는 구닥다리이기는 하지만 간단하고 빠르고 안정적이라 차세대 무선 방식인 블루투스 입력기기에서 확실한 개선품이 나올 때 까지는 저의 일순위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본격적으로 "대무선시대"로 항해 하시는 건가요? ㅎ
제 경우는 무선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줄들이 많이 보이는 환경입니다.
가끔 마우스라도 무선을 써 볼까 하다가도 그냥 넘기고는 합니다.
요즘은 블루투스나 기타 무선이 많이 안정된 것 같기는 해서 유혹이 들기는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