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하고
키보드에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없어서 이런질문이 나오는데
버클링방식 ibm 5150 같은 기종도 아이콘 이식 가능할까요?
버클링 + 정전이라 들었는데 와이어링이나 아이콘 이식관련해서 글이없는거 같아서요.

XT방식 컨버터가 존재한다면, 개조나 그런것을 하는 것보다 그냥 컨버터를 사용하는게 훨씬 낫지요;
무엇보다, PCB의 구조를 변경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제대로 작동이 될지 안될지도 몰라요.
아래에 쓰일 글은, 키보드의 구조를 보고서 어느정도 살펴본 가능성에 불과합니다.
제가 납땜 및 커스텀 기술이나 IBM 모델 F 키보드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으니, 일단 어느정도 참고만 해주세요.
이게 제가 요모조모 구글링 해 본 IBM 모델 F의 기판 구조 입니다.
그리고 이게 미국 특허 설명에 나와있는 버클링 스위치의 작동 구조입니다.
이 버클링 스위치의 작동 구조를 보았을때, 한 키에 해당되는 접점이 2곳이 있으며, 스위치가 눌리면 철판 같은 무언가가
저 두개의 접점을 쇼트시켜 줌으로써 키를 작동시키는 구조에 해당되는 듯 싶습니다.
그렇다면, 저 PCB 기판 내에, 한 키에 해당되는 직사각형 접점이 만나는 부분이 키보드의 회로가 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만일 와이어링을 하게 된다면, 다른 스위치의 접점과 이어지는, 즉 매트릭스가 이어지는 부분은 끊고,
저 접점이 만나는 부분의 동박을 벗겨내어 와이어링을 하게 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예상을 드립니다.
어디까지나 예상이니, 이하 개조에 임하시기 전에 다른 분하고도 충분한 상담을 거칠 것을 권장드립니다.
몇번이고 말씀드리지만, 이 글만 보고서 무턱대고 개조를 감행하는 경우는 절대로, 절대로 없도록 하심을 부탁드립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멤브레인 키보드는 와이어링을 할 노력으로 멤브레인 시트를 다시 짜는게 낫다고 보여집니다.IBM 컴퓨터에서 나오던 키보드는 대부분 버클링 방식이라지만, 결국 작동부위는 멤브레인 시트를 쓰고 있기 때문에,특별히 아이콘으로 와이어링이 안되서 말이 없다기보다는, 와이어링 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워서 말이 없는 것이겠지요.멤브레인 시트는 가로 회로와 세로 회로가 각각 다른 시트에 인쇄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접점 부위에 구멍이 뚫린 시트가 끼어 있어,러버돔이든, 스프링이든이 멤브레인 시트를 핀 포인트로 눌러 주어 그 구멍이 뚫린 시트로 인해 떠있던 회로 두장이 쇼트하여전기 신호를 보내어 키가 입력됨을 인식하는 것이 멤브레인의 구조입니다.그러니, 열에 약한 멤브레인 시트를 가지고 납땜을 한다던가, 무엇을 할 여지가 전혀 없으므로,자기가 사용할 컨트롤러의 매트릭스를 가지고서 그에 맞는 멤브레인 시트를 새로 인쇄를 한다던가 하지 않으면아이콘이든, DT35의 컨트롤러든 뭐든을 갖고 오던간에 멤브레인 키보드 개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됩니다.지금 다시 찾아보니 IBM 5150의 키보드는 기판을 사용하는군요.
리얼포스를 개조하는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개조가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